이 공지는 실제로 몇 가지 기술적 설명이 모호하거나 논리적으로 납득이 어려운 부분이 있어 의심을 살 수 있습니다. 주요 쟁점과 함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아래에 정리해 드릴게요.
🔍 1. "확률은 정상 작동하였습니다"는 말의 모순
공지의 핵심 주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확률은 정상이다.
-
다만, 같은 랜덤 시드가 공유되면 결과가 같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 문제점:
‘같은 시드로 인해 결과가 같아지는 상황’이라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특정 아이템이 연속해서 나오거나, 특정 패턴이 반복되는 비정상적 현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체감상 "확률이 정상적이지 않다"고 느낄 수밖에 없고, 실제로 "랜덤성"이 훼손되었다는 점에서 엄밀히 말해 '정상 작동'한 게 아닙니다.
🔍 2. 랜덤 시드에 대한 설명이 책임 회피적으로 쓰임
"랜덤 시드를 계속 변경하기보다는 기준이 되는 시드 아래 이후의 확률들이 작동하도록 구현하였습니다."
💬 문제점:
-
일반적으로 확률형 콘텐츠(특히 가챠/뽑기)는 매번 시드가 바뀌어야 진짜 랜덤입니다.
-
그런데 여기서는 "동일 시드를 기준으로 하는 설계"라고 설명하고 있어요.
-
이건 **"동일한 환경에서는 동일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의미이고, 실질적으로는 **랜덤이 아닌 ‘고정된 출력’**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비정상적입니다.
📌 쉽게 말해:
‘항아리 A를 동시에 여러 명이 열면 같은 아이템이 뜬다’면 이건 확률형 시스템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 셈입니다.
🔍 3. 리팩토링 탓으로 돌림
"리팩토링 이후, 일부 상황에서 같은 랜덤 시드로 동작하는 현상이 확인되었습니다."
💬 문제점:
-
개발자들 입장에서야 "리팩토링 중 사이드 이펙트"는 흔한 일이긴 합니다.
-
하지만 확률형 아이템 시스템은 민감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런 리스크가 생기면 안 됩니다.
-
게다가 "일부 상황"이라는 모호한 표현은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주지 못합니다. 어느 상황에서 그런 일이 생겼는지 구체적인 기술적 해명이 없습니다.
🔍 4. 책임 회피적인 어휘 선택
“결과적으로는 확률은 정상 작동하였습니다”
“같은 시드를 가진 경우 같은 결과값을 가질 수 있는 상황”
💬 문제점:
-
사용자 입장에서 중요한 건 겉으로 드러난 결과입니다.
-
결과가 “같은 아이템이 연달아 나옴”이라면 그것이 설계상의 ‘정상 동작’이든 아니든, 사용자에겐 비정상으로 느껴지는 현상입니다.
-
그런데 공지는 이런 현상을 “확률은 정상, 결과가 같을 수 있음”이라고 말하며 논점을 피해 갑니다.
🧠 정리: 이 공지가 이상한 이유
항목 | 문제점 |
---|---|
1. 확률 정상 주장 | 실제로는 랜덤성이 훼손되었는데 ‘정상’이라고 주장 |
2. 시드 공유 문제 | 확률형 시스템에서 시드 공유는 중대한 설계 오류 |
3. 리팩토링 탓 | 민감한 시스템에서 ‘리팩토링 탓’은 설계 미비를 드러냄 |
4. 모호한 설명 | "일부 상황", "같은 시드 기반" 등 책임 회피적 어휘 사용 |
📝 사용자 입장에서 물을 수 있는 질문 예시:
-
‘확률은 정상’이라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실제 결과는 동일하게 나왔는데?
-
시드를 공유해서 결과가 같아진다면, 그게 무슨 ‘랜덤’인가요?
-
이 현상이 실제로 몇 명에게, 어떤 항아리에서, 얼마나 발생했는지 수치는 있나요?
-
향후 재발 방지를 어떻게 할 계획인가요? 시드 설계를 바꾸나요?
필요하다면 이 공지에 대해 항의 메일 또는 정리된 비판 의견을 보내기 위한 글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추가로 분석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요즘 쳇gpt 자주 쓰니까 이런것도 되네.
(IP보기클릭)218.50.***.***
정리가 오히려 안되는 느낌인데
(IP보기클릭)218.50.***.***
정리가 오히려 안되는 느낌인데
(IP보기클릭)39.7.***.***
랜덤이 아니다 끝 | 25.07.05 12:14 | | |